네트워크로 보는 세계 속의 북한 > 북한관련 저서

본문 바로가기

북한관련 저서

네트워크로 보는 세계 속의 북한

  • 별점 : 평점
  • - [ 0| 참여 0명 ]
저자 : 김치욱 , 도종윤 , 박종희, 배영자, 송태은, 신범식, 우승지, 조동준, 조은정 저자(글 | 출판사 : 늘품플러스 | 출판일 : 2015.02.27
판매가 : 18,000

책 정보

기존의 국제정치학 이론들이 갖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 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북핵과 북한 문제를 분석하고 새로운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의 군사안보와 물적 자원에 초점을 맞춘 권력개념을 넘어서서 최근 사회학이나 물리학, 역사학에서 논의되는 네트워크라는 개념을 통해 비전통안보 분야와 비국가행위자들까지 포함하는 연결망의 맥락 속에서 북한 문제에 접근한다.

그 같은 관점에서 6자회담, 핵미사일, 사이버안보, 무역과 원조, 개혁과 개방, 접경지대 경제협력, 남북경협, 커뮤니케이션 전략, 디지털 미디어 확산, 인권조약, 개념적 통합네트워크라는 북한 관련 주제들을 분석하고 있다.

저자 소개

배영자 (지은이)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 정치경제, 과학기술과 국제정치, 인터넷과 국제정치, 과학기술 외교다. 주요 논문으로는 「과학기술의 세계정치연구 현황」(2021), 「국제정치패권과 기술혁신: 미국 반도체 기술 사례」(2020), 「과학기술과 공공외교」(2013) 등이 있다.

 

신범식 (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러시아정치, 유라시아 국제관계, 환경 에너지 국제정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부소장, 러시아 국제관계대학(MGIMO)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조동준 (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정치학 박사

2020, “코로나-19와 지구화의 변화.” 『국제정치논총』

2018, “신호이론으로 분석한 2013년 한반도 위기.” 『평화학연구』

 

도종윤 (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및 서울대 외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벨기에 브뤼셀 자유대학교(ULB)에서 DEA및 정치·사회과학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습니다. 연세-SERI EU센터 박사 후 연구원,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서울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건국대, 제주대 등에서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제주평화연구원 지역통합 연구부 연구위원을 맡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로 보는 세계 속의 북한》(공저)을 썼으며, 《EU 매뉴얼》, 《세계정치론》(공역) 등을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김치욱 (지은이)

울산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오스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세력확산의 국제정치: 국제 의회네트워크와 글로벌 무역 거버넌스〉, 〈Building Multilateralism on Bilateralism: Evidence from Networked Governance of FDIs in Asia〉 등이 있다.

 

조은정 (지은이)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연구위원

前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前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University of Warwick 정치학 박사

 

우승지 (지은이)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에서 국제정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교안보연구원(현 국립외교원) 교수를 거쳐 경희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공은 국제정치와 남북관계이며, 현재 주로 남북화해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최근 저서와 논문은 다음과 같다. 『남북관계의 이해』 (2018). “Power Transition and Inter-Korean Dialogue in the Early 1970s”(2016). “Balance of Dependence: The Making of North Korean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 Il”(2018). “신외교서설”(2019).

 

박종희 (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국제정치경제와 사회과학 방법론을 가르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산하 국제정치 데이터센터장을 맡고 있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석사를 마치고 미국 워싱턴대학교(세인트루이스)에서 무역보조금연구와 베이지안 방법론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 시카고대학 정치학과에서 조교수로 부임하며 국제정치경제와 정치학 방법론을 가르쳤으며 미시간대학의 ICPSR(2008-2012 여름)에서 베이지안 방법론을 가르쳤다. 베이지안 전환점 모형에 대한 연구로 2010년 미국정치학회 방법론 분과 최우수논문상인 해롤드가즈넬상을 수상했으며 2013년에는 MCMCpack으로 미국정치학회 방법론 분과가 수여하는 통계소프트웨어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방법론 관련 저작으로는 “Bayesian Inference in Political Science” (The SAGE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Detecting Structural Changes in Longitudinal Network Data” (Bayesian Analysis 2020), “Bayesian Approach to Multilayer Stochastic Block Model and Network Changepoint Detection” (Network Science 2017), “A Unified Method for Dynamic and Cross-Sectional Heterogeneity: Introducing Hidden Markov Panel Model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등이 있다.

 

송태은 (지은이)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외교전략센터 조교수이다. 서울대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신안보·신기술, 외교정책·외교전략,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사이버 안보 및 사이버 심리전, 중견국 외교와 공공외교 등이다.

 

윤영관 (엮은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SAIS)에서 <패권국 권력이 쇠퇴하는 경제적 메커니즘에 관한 역사 및 사례 연구>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캠퍼스에서 3년간 조교수로 지냈으며, 1990년부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로 옮겨 학생들을 가르치며 국내 학계에 국제정치경제학을 소개해왔다. 2003~2004년에는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내기도 했으며, 싱크탱크 ‘미래전략연구원’과 북한 및 통일 문제를 다루는 ‘한반도평화연구원’을 설립하여 운영했다. 지은 책으로 《외교의 시대》《전환기 국제정치경제와 한국》《21세기 한국정치경제모델》《한국외교 2020 어디로 가야 하나?》 등이 있다.

 

전재성 (엮은이)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국제정치이론, 국가안보 등을 연구해 왔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장, 동아시아연구원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주권과 국제정치: 근대 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등이 있다.

 

김상배 (엮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흥안보, 사이버안보,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 미래전 중견국 외교다. 대표 저서로는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기술·안보·권력의 복합지정학』 등이 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