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 박성기
유원대학교 교수로 예술경영, 문화정책론, 사회복지행정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통일실천교수회 회장을 맡고 있다. 선문대학교 대학원에서 “비선호시설에 대한 공공갈등관리전략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2012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강원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에서 “통일비용 절감을 위한 북한의 토지개혁방안에 관한 연구” 논문으로 1996년에 석사학위를 받았다. 서경대학교와 선문대학교에서 안보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또한, 천안민주평화통일을 위한 천안시의회 자문위원, 국제로타리 3620지구 천안지역 회장, 코리안드림 강사연수 담당 교수 등을 역임했다. 박 교수는 육군본부에서 “군과학훈련장비 개발 및 훈련시설 종합개발”에 관한 정책업무를 담당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전쟁과 무기체계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군사훈련장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한국정책학회, 2013)이 있다.
저 : 정경영
현재 한양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로서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Korea in World Politics를 강의하고 있다. 전주고, 육군사관학교, 미 육군지휘참모대,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University of Maryland 대학원에서 “Building a Military Security Cooperation Regime in Northeast Asia: Feasibility and Design” 논문으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부·중부·동부전선의 야전지휘관과 참모로서 나라를 지키고, 싸워 이기는 군대를 육성했다. 미8군, 주한미군사지원단, 한미야전사, 한미연합사에서 연합작전계획과 군사전략을 수립했으며, 합동참모본부와 육군본부에서 국방정책과 한미동맹 발전을 위해 헌신했다. 국방대, 가톨릭대에서 국가안보, 국제정치, 북한연구, 전쟁과 평화를 강의했으며, 국가안보회의와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대통령직인수위 안보자문위원과 (사)동북아공동체문화재단 부설 동아시아국제전략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민족분단의 현장에 서서』(1990), 『변화시대의 한국군』(2000), 『동북아 재편과 한국의 출구전략』(2009), 『한국의 구심력 외교안보정책』(2014), 『통일한국을 향한 안보의 도전과 결기』(2017), South Korea: The Korean War, Armistice Structure, and A Peace Regime(2020) 등과 『동아시아 영토분쟁과 국제협력』(2014, 편저), 『린치핀 코리아』(2020, 공저)가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전작권 전환을 통한 한미동맹 발전, 북한 군사전략, 다자안보, 동북아 국제관계 등이며 외교안보정책 자문을 하고 있다.
저 : 최용호
최용호 박사는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에서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의 민사작전 연구” 논문으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최박사는 육군대학 교수부 교관으로 6년 동안(1984-1990) 전술학을 강의하였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책임연구원, 전쟁사2부장 등을 역임(2001-2011)하였다. 2011년 국방부에서 퇴직한 후 사단법인 전쟁과평화연구소를 설립하여 소장으로 근무(2011-2017)하면서 경기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육군대학에서 해외파병사를 강의하였다. 그 후 육군본부 군사연구실 객원연구위원(2018-2022)으로 『제3야전군사령부 변천사(1978- 2018)』 등 5권의 부대역사서를 집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베트남전쟁과 한국군』(2004), 『응답하라 1950 대한민국』(2017) 등 50여 권이 있다.
저 : 구필현
구필현 박사는 자유일보 국제부 부장과 동북아공동체문화재단 정책자문위원이다. 영국 런던대학교(LONDON) 아중동아프리카(SOAS)대학에서 “Civilian- Military Spin-on & Spin-off Technology Transfer: Case Study of Sou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논문으로 개발연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영국 University of Warwick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와 성균관대학교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경영학 박사학위를 수료하였다. 이집트와 르완다 국립대학에 파견되어 한국정부의 ODA(해외원조)를 수행하였고, 성균관대 국제학부에서 겸임교수로 국제경영과 경영전략을 강의하였다. 현대자동차그룹 서울본사 국제금융과 IR담당 상무, 미국의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선임컨설턴트와 영국의 스탠다드앤푸어스 선임애널리스트, 국방과학연구소 지상무기체계본부 연구원을 역임하였다.
저 : 박동순
경남대학교 정치학 박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제분쟁사부장을 역임했으며 숙명여자대학교,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에서 강의했다. 현재 한성대학교 국방과학대학원 겸임교수이다.
저서로는 『한국의 전투부대 파병정책』, 『군사학 개론』(공저), 『국군의 아프가니스탄 평화활동』(공저), 『내 인생 주인으로 살기』가 있다.
저 : 안찬일
안찬일 박사는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민주평통 상임위원,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육군발전 자문위원, 사)세계북한연구센터 이사장, 한국열린사이버대학 석좌교수, 통일천사 공동 상임의장, 세계탈북민총연맹 총재로 활동하고 있다. 국가정보원 북한 연구실장을 역임하였고, 미 컬럼비아대학 초빙교수와 버지니아대학 초빙학자, 서강대, 중앙대, 서울교대, 연세대, 건국대에 출강하였다. 각종 언론 매체에 출연하고 있으며, 미국 워싱턴 《자유아시아방송》, RFA에 <안 박사의 주간 진단> 프로를 5년째 진행 중이다.
주요 저서로 『주체사상의 종언』(1997), 『북한총람』(2024), 『북한 사회의 이해』(1995) 등과 주요 논문으로 “김정일 시대 군의 정치기구에 관한 연구”, “김정은 시대의 당군관계 연구” 등이 있다. 통일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장과 행정안전부장관 표창장을 수여받았다.
저 : 조병현
경남 함양 출신으로 안의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일대학교에서 「지적학의 접근방법에 의한 북방영토 문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한지적공사(현재 한국국토정보공사) 지적재조사추진단장,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겸임교수와 대구과학대학교 측지공학과 조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경일대학교 독도 · 간도교육센터 연구위원과 북한토지연구소 소장, 단재신채호학당 교장, (사)영천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북한토지학』(일일사, 2017 공저), 『북방영토연구』(백산자료원, 2012), 『북한토지론』(일일사, 2004 공저), 『북한의 지적제도』(대한지적공사, 2001) 등과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지적제도 개편 방안 연구」, 「북한 토지의 효율적 관리체계구축 방안」, 「일본 오끼나와의 지적조사특별조치법에 관한 연구」, 「독도에 관한 북한의 인식연구」, 「우리나라 부동산공시제도의 미래상」 등 4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