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한국의 체제 구상: 국제적 위상과 복합국가체제
저자의 다른책
책 정보
목차
서 론
1.연구의 목적 및 취지
2.선행 연구 검토
3.연구의 내용 및 방법
1)연구 내용
2)연구 방법
제1장 한반도의 체제적 존재양식과 남·북한 분단체제의 갈등구조 해부
1.한반도의 체제적 존재양식을 규정하는 기본 요인
2.한반도의 체제적 존재양식과 그 규정요인의 함수관계
3.남·북한 분단체제의 복합적 갈등구조와 구조적 연계성
제2장 분단 극복과 통일 성취를 위한 체제모형 탐색 : 역사적 준거모형과 그 현실적 함의에 대한 예비적 검토
1.접근방법 검토
2.통일지향적 체제모형 탐색(1) : 로카르노체제모형과 6자회담체제
3.통일지향적 체제모형 탐색(2) : 중립화체제모형
4.통일지향적 체제모형 탐색(3) : 통일독일체제모형
5.소결론 : 역사적 준거모형의 적실성 평가
제3장 통일한국의 국제적 존재양식 탐색
1.방법론상의 유의점
2.6자회담의 다자안보협의체적 의미와 그 방향
3.6자회담의 후속 과제 :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
4.통일한국의 국제적 존재양식 탐색 : 역사적 준거모형의 적실성 검토
제4장 통일한국의 국가적 존재양식 탐색
1.방법론상의 유의점
2.통일지향적 국가형태로서 복합국제체제 : 역사적 준거모형과 그 실천적 함의
3.남·북한 통일방안과 복합국가체제 : 그 수렴가능성 진단
4.통일한국의 국가형태로서 복합국가체제 : 역사적 준거 모형과 그 기본적 지향
결 론
부록 1 남·북한 당국간 공식 합의문서
부록 2 한반도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안)
부록 3 주요 중립화사례 및 통일독일 관련 공식문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