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고통의 공감과 연대 > 북한관련 저서

본문 바로가기

북한관련 저서

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고통의 공감과 연대

  • 별점 : 평점
  • - [ 0| 참여 0명 ]
저자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기획 · 김종군 , 이범웅 , 이재승 , 한순미 , 김종곤 , | 출판사 : 한국문화사 | 출판일 : 2016.12.30
판매가 : 24,000

책 정보

고통의 공감과 연대는 타인의 영역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이 지닌 상처에 상상적으로 접근한다는 의미에 더 가깝다. 그리고 그러한 접근을 통해 요구하는 바는 그들이 버티며 살 수 있도록 힘을 보태는 데에 ‘책임’을 짊어지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책임의 윤리’를 우리 사회에 세워내는 것이다. 하지만 그 책임은 단지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그 책임은 우리의 역사에서 비극의 역사가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현재’를 바꾸어내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에까지 나아간다. 따라서 고통의 연대와 공감은 상처를 지닌 자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을 구성하는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우리 자신은 그들과 완전히 다른 시공간이 아니라 그들과 함께 ‘지금, 여기’에 살고 있으며 또 내일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과거의 상처가 치유되지 않는 조건이 유지되는 ‘지금, 여기’에서의 나의 삶은 결코 평화롭고 안정적일 수 없다. 그렇기에 고통의 공감과 연대는 어느 일방이 다른 일방에게 시혜적으로 손을 내미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공감(共感)’과 ‘연대(連帶)’라는 두 단어를 연속적으로 이해한 의미에 따라 말하자면, 정서적으로 연결되어 책임을 함께 지는 ‘치유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핵심적인 가치이자 방법이 되는 것이다.

*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은 2015년 9월부터 시작된 3단계 아젠다 수행 목표를 “‘포스트-통일’과 인문적 통일비전의 사회적 실천”으로 잡고 앞으로 4년 동안 ‘민족적 연대’, ‘민주주의와 인권’, ‘생명 평화’, ‘통일국가의 이념’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저자 소개

기획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은 통일 문제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과 지혜를 모으고자 ‘소통·치유·통합의 통일인문학’을 표방하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에서 출범한 연구기관이다.

2009년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지원사업’에 선정되면서 연구 체계를 본격화하였으며, 2012년 1단계 평가에서는 ‘전국 최우수 연구소’로 선정되었다.

통일인문학은 사람 중심의 인문정신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통일 문제를 진단하고 그 해법을 찾고자 하는 새로운 학문 영역으로서, ‘체제의 통일’을 넘어 ‘사람의 통일’로, 분단과 대결의 시대에서 통일과 평화의 시대로 나아가기 위한 인문학적 성찰과 지혜를 모으고자 한다.

‘소통·치유·통합’의 아젠다를 통해 새로운 통일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있는 통일인문학연구단은 앞으로도 분단 극복과 한민족 통합의 인문적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학문 연구와 사회 활동을 활발하게 펼쳐 나갈 것이다.

 

저자() 김종군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

김종군은 국문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로 있다. 연구 관심분야는 남북한 문학분야의 통합, 코리언의 민속문화 통합, 역사적 트라우마와 치유 방안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통합서사의 개념과 통합을 위한 문화사적 장치」, 「북한의 현대 이야기문학 창작 원리 연구」, 「탈북민 구술울 통해 본 북한 민속의례의 변화와 계승」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고전문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시각』(3권),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 등이 있다.

 

저자() 이범웅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이범웅은 북한 및 통일교육과 도덕교육론을 전공했으며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있다. 「공동체주의의 통합적 기능에 관한 복합체계론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관심분야는 통일교육 및 북한 이해교육이며, 공감과 감사 그리고 행복을 도덕교육과 접목시키려는 데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지구촌생태계 위기와 환경윤리교육』, 『국가정책과 체계과학』, 『21세기 북한학 특강』, 『도덕과 교육의 이론』, 『도덕과 교육의 실제』, 『도덕?윤리과 교육의 학제적 접근』, 『통일시대의 북한학』, 『21세기 북한학 특강』,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 원론의 원론』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효과적인 수업관찰』, 『넥스트: 좋은 사회로의 길』, 『사이버 윤리』, 『마르크스의 생태학』 등이 있다.

 

저자() 이재승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재승은 서울대학교에서 법철학을 전공하였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철학, 법사상사, 인권법을 가르친다. 국가폭력의 청산과 인권문제를 주로 연구해왔으며 『국가범죄』를 저술하였다. 역서로는 로베르트 웅거의 『주체의 각성』과 칼 야스퍼스의 『죄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화해와 애도의 정치, 사회민주주의의 혁신을 연구한다.

 

저자(글) 한순미

조선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한순미는 전남대학교에서 「이청준 소설의 언어 인식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조선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조교수로 지내고 있다. ?관심분야는 구술과 증언문학 속의 한센병, 5?18 광주 민주화운동 등 역사적 트라우마, 지역문학 연구 등이다. ?주요 논저로는 「한센인의 삶과 역사, 그 증언 (불)가능성」, 「고독의 위치: 폭력과 저항의 유착(流着)」, ?「나무-몸-시체: 5?18 전후의 역사 폭력을 생각하는 삼각 운동」, 『미적 근대의 주변부: 추방당한 자들의 귀환』 등이 있다.

 

저자(글) 김종곤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김종곤은 사회심리철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로 있다.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철학적 재구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관심분야는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와 그 치유방법론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분단국가주의에 맞선 주체로서 ‘문학가’: 류연산의 〈인생숲〉을 바탕으로」, 「기억과 망각의 정치, 고통의 연대적 공감: 전상국의 소설 〈아베의 가족〉, 〈남이섬〉, 〈지뢰밭〉을 통해 본 통합서사」, 「재일조선인의 역사적 트라우마가 지닌사후적 의미작용의 양상」, 「남북분단 구조를 통해 바라본 ‘탈북 트라우마’」 등이 있다.

 

저자() 박재인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박재인은 문학치료학(고전문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로 있다. 「한중일 조왕서사를 통해 본 가정 내 책임과 욕망의 조정 원리와 그 문학치료학적 의미」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문학치료학 방법론으로 통일교육 및 역사적 트라우마 치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청소년을 위한 통일인문학: 소통·치유·통합의 통일 이야기』, 「낯선 고국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이산 트라우마의 단면: 고향을 떠나 영주귀국한 사할린 한인C의 생애담을 중심으로」, 「탈북여성의 부모밀치기서사 성향과 죄의식」 등이 있다.

 

저자() 김귀옥

한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교수

김귀옥은 역사사회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한성대 교양학부 교수로 있다. 「한국전쟁 시기 월남인의 정착촌 형성 연구: 속초 ‘아바이마을’과 김제 ‘용지농원’을 중심으로」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분단과 전쟁, 통일과 평화, 이산가족과 여성, 분단을 넘는 사람들, 디아스포라(diaspora) 공동체, 노동 등에 걸쳐있으며, 관련 연구를 위해 현지조사(fieldwork research)와 구술사 방법론을 통해 사람들의 기억 속에 묻혀있는 기록을 발굴, 정리하는 일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구술사연구』, 『월남민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밑으로부터의 월남민 연구』,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이산가족 문제를 보는 새로운 시각』, 『우리가 큰바위얼굴이다』, 『동아시아의 전쟁과 사회』(공저), 『구술사로 읽는 한국전쟁』(교신저자),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공저) 등 다수가 있다.

 

저자() 전영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의교수

전영의는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강의교수로 있다. 「조정래 『태백산맥』의 서사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연구관심분야는 한국현대소설비평, 한 중 근현대소설 비교비평이다.

주요논문으로는 「한?중 근대도시의 타자공간과 욕망의 표상」, 「모던 상하이의 욕망과 파사주 프로젝트」, 「조정래 『한강』에 나타난 기억의 의미변주와 공간의 상관성 연구」, 「조정래 『한강』에 나타난 국가폭력과 공간의 주체성 연구」, 「한?중 근현대 소설텍스트에 나타난 국가폭력과 공간의 주체성 연구: 『한강』과 『형제』를 중심으로」, 「위화의 『형제』에 나타난 광기와 공간의 주체성 연구」, 「『허수아비춤』의 자본주의 권력과 공간의 의미망」, 「조정래 『허수아비춤』에 나타난 근대권력과 주체성 연구」,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문학의 정치성 연구」, 「역사적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문학생산론: 조정래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조정래 대하소설에 나타난 서사구조연구」, 「『한강』의 이데올로기와 공간의 역학」, 「『태백산맥』의 탈식민성 연구」, 「『아리랑』의 탈식민성 연구」, 「『아리랑』의 오리엔탈리즘과 디아스포라」, 「이청준의 「석화촌」에 나타난 원형성과 속신의 코드」 등이 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