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데리러 오지 않았다 > 북한관련 저서

본문 바로가기

북한관련 저서

아무도 데리러 오지 않았다

  • 별점 : 평점
  • - [ 0| 참여 0명 ]
저자 : 이혜민 | 출판사 : 깊은바다 돌고래 | 출판일 : 2023.05.31
판매가 : 16,000

책 정보

아들을 품에 안고 있으면, 누군가의 귀한 아들인 국군포로들이 눈앞에 어른거렸다

2013년 귀환 국군포로를 만났다. 국군포로를 취재하면서 이들의 증언집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사이판과 팔라우에 살았던 위안부를 비롯해 사할린 억류자들을 취재한다지만, 피해자 대부분이 사망한 상황에서는 할 일이 없다’며 절망하던 나는 희망을 찾고 있었다. (중략) 아들을 품에 안고 있으면, 누군가의 귀한 아들인 국군포로들이 눈앞에 어른거렸다. (중략) 논문 계획안을 작성하려고 2016년 서울은 물론, 경기도 이천과 안산에 사는 귀환 국군포로들을 찾아가 인터뷰했다. (중략) 2020년 2월 20일부터 9월 25일까지 8개월 동안 귀환 국군포로 7명, 국군포로 자녀 2명, 국군포로 아내 1명, 국군포로 관련 시민단체 활동가 2명을 만나 가까스로 논문을 썼다. (중략) 나는 귀환 국군포로 11명을 만났는데 그중 9명에 대한 이야기만 책에 실었다.(8~10쪽)

현재 우리는 돌아오지 못한 국군포로의 정확한 수조차 모르는 실정이다
내가 만난 귀환 국군포로들은 5만~10만 명으로 추산하는데, 다른 그룹들은 또 다르게 예측하고 있다. 1953년 8월 7일 유엔군사령부가 발표한 〈휴전에 관한 특별보고서〉에는 국군포로와 실종자가 8만 2,318명으로 기록돼 있다. 우리 정부는 1997년 10월, 4만 1,971명에 달하는 〈6ㆍ25참전 행불자(실종자) 명부〉를 작성했는데, 이 인원에 미귀환 국군포로가 포함됐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은 1950년 12월 30일 평양방송을 통해 국군 및 유엔군 포로가 6만 5,000명이라고 밝혔다. 그중 1만 3,469명이 송환됐으니 미귀환 국군포로는 5만 1,000여 명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은 〈항미원조전사〉를 통해 중공군이 개입한 후 생긴 포로가 4만 6,523명이며 그중 국군포로는 3만 7,815명이라고 집계했다.(12쪽)

가족들의 안위를 걱정해 얼굴도 공개하지 않는 어르신들과 한 약속은 외면하기 어려웠다.
나는 어르신들을 10년 동안 느릿느릿 인터뷰하면서 늘 이렇게 말씀드렸다. “저에게 해주신 말씀을 잘 정리해 사람들에게 알리겠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어르신들과 한 약속을 지키고 싶어졌다. 가족의 안위를 걱정해 이름도, 얼굴도 공개하지 않는 어르신들과 한 약속은 외면하기 어려웠다. 도리어 그 약속을 어기려면 용기가 필요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어르신들이 고통 속에서 살아간 동료들 때문에 나에게 이 일을 증언한다’는 사실을 확인했기에 그 마음을 저버릴 수 없었던 것 같다. (11, 12쪽)

기자 10명이 일주일이면 해낼 일을 기자 1명이 10년에 걸쳐 띄엄띄엄 했다
내가 게으름을 피우는 사이 6ㆍ25전쟁 귀환 국군포로 생존자는 2023년 5월 현재 13명으로 줄어들었다. 애초에 나는 국군포로의 손을 잡고 그분들의 목소리를 세상에 전하고 싶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고 보니 어르신들이 나를 세상으로 이끌어주셨다는 걸 알게 됐다. 그분들에 대한 책을 쓰고 싶었던 기자가 꿈을 실현하려다 병이 나 백수가 됐는데, 그 꿈을 이루며 깊은바다 돌고래 출판사 사장이 됐기 때문이다. 기자 10명이 일주일이면 해낼 일을 10년에 걸쳐 띄엄띄엄 했을 뿐인데 이런 말을 해서 쑥스럽지만 어쩔 수 없다. 사실이다.(14쪽)

진보주의자도, 보수주의자도 아닌 한 인간으로서 전쟁 피해자들의 삶을 듣고 기록했다
나는 폭로하기 위해 귀환 국군포로들을 만난 것이 아니다. 실상을 고발하는 기사는 넘쳐난다. 보수주의자로서 국가를 위해 헌신한 영웅을 알리고 싶어서 취재한 것도 아니다. 진보주의자도, 보수주의자도 아닌 한 인간으로서 전쟁 피해자들의 삶을 듣고 기록했을 뿐이다.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않길 바라면서 말이다. (13, 14쪽)

저자 소개

경기도 여주에서 돼지농장을 하는 부부의 둘째 딸로 1982년 삼일절에 태어났다. 이화학당의 자랑인 유관순 열사를 동경하며 이화여자대학교에 들어가 정치외교학을 공부했다. 2007년 동아일보사에 입사해 〈신동아〉, 〈주간동아〉에서 마이너리티를 취재했다. 2012년 일제 징용 피해자 유해 발굴 현장인 사할린, 위안부 흔적이 남은 사이판과 팔라우를 찾아갔다. ‘가해자에게 사과받지 못하는 현실’보다 ‘피해 실태조사가 미흡한 현실’이 더 안타까웠다.
2013년, 6·25전쟁 귀환 국군포로들에게 마음이 갔다. 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연재기사로 싣지 못해 논문으로 담아내자 싶었다. 이듬해 육아휴직을 받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과(석사과정)에 들어갔다. 복직해 논문 작성을 미루는 사이 전두환 전 대통령을 인터뷰했다. 전 전 대통령에게 5·18에 대한 책임을 물은 뒤 책무라는 단어의 무게를 알게 됐다. 영화 〈군함도〉를 계기로 군함도를 취재했다. 군함도 피해자 6명은 만날 수 있겠다 싶었다. 단행본 《기록되지 않은 기억 군함도》(2018) 책날개에 ‘귀환 국군포로 40여 명을 취재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고 적은 것은 제비가 ‘시간’을 물어다 주길 바랐기 때문이다. 책 곳곳에 ‘전쟁의 참혹함을 기록하는 데 인생을 걸겠다’는 포부를 적어놨지만, 건강이 나빠져 2019년 회사를 떠났다.
그토록 갖고 싶었던 기자 직함을 잃은 대신 시간을 얻었다. 코로나 사태가 한창인 2020년 민폐인 줄 알면서도 귀환 국군포로들의 인터뷰를 진행해 논문 〈한국전쟁 귀환 국군포로 구술사 연구〉(2021)를 작성했다. 지금은 두 아이를 키우며 포부를 안고 나아가고 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