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사회주의 경제이행 국가의 권력구조 유형과 개혁 경로 : 포스트-김정일 체제에 대한 시사점 이전 책 다음 책 목록 별점 : 평점 - [ 0점 | 참여 0명 ] 저자 : 최진욱 | 출판사 : 통일연구원(KINU) | 출판일 : 2010.12.01 판매가 : 8,000 원 구매 링크 저자의 다른책 Previous 북한체제의 안정성 평가 : 시나리오 워크숍 한반도 통일과 주변 4국 한반도 평화통일 어떻게 만들 것인가? 통일 진입과정에서의 북한 재건 방향 북한이해의 길잡이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현대북한행정론 통일외교 과제와 전략 북한의 국가 사회관계와 통일정책 거버넌스 2008 북한인권백서 북한체제의 안정성 평가 : 시나리오 워크숍 한반도 통일과 주변 4국 한반도 평화통일 어떻게 만들 것인가? 통일 진입과정에서의 북한 재건 방향 북한이해의 길잡이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현대북한행정론 통일외교 과제와 전략 북한의 국가 사회관계와 통일정책 거버넌스 2008 북한인권백서 북한체제의 안정성 평가 : 시나리오 워크숍 한반도 통일과 주변 4국 한반도 평화통일 어떻게 만들 것인가? 통일 진입과정에서의 북한 재건 방향 북한이해의 길잡이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Next 책 정보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쟁점 3. 로드맵 Ⅱ. 탈사회주의 경제이행 경로 1. 급진개혁과 점진개혁정책 2. 개혁최소화정책 Ⅲ. 권력구조와 개혁정책 1. 정치적 책임성과 권위주의 체제 2. 탈사회주의 개혁경로 모델 Ⅳ. 포스트-김정일 권력구조 유형 1. 정치적 책임성과 권력구조 시나리오 2. 네 가지 권력구조 유형 Ⅴ. 유형별 북한의 예상 정책방향과 우리의 대응방안 1. 유형Ⅰ: 베트남식 전면 개혁ㆍ개방 2. 유형Ⅱ: 급진적 개혁 3. 유형Ⅲ: 부분적 개혁ㆍ개방/현정책 고수 4. 유형Ⅳ: 예측 불허 대혼란 Ⅵ. 결론 저자 소개 북한, 통일전문가. 현재 전략문화연구센터 원장, 일본 리츠메이칸대 석좌교수, 한국외대 객원교수이다. 1993년부터 통일연구원에서 남북통일, 북한정치, 동북아정세를 연구했으며 2014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3년간 14대 원장으로 재직하였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통일정책연구협의회 의장,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및 기재부, 통일부, 외교부, 방송통신위원회 등의 자문위원으로서 정부 통일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적극 참여하는 경험을 했다. 2013년 13대 북한연구학회장을 역임헸다. 최진욱은 통일연구원 퇴임후 교토 리츠메이칸대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던 중 2019년 동아시아평화협력연구센터를 설립하였다. 2020년 5월 서울에 전략문화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서울에서 활동을 재개하였다. 『현대북한행정론 제2판』. (서울: 명인문화사, 2008)을 비롯해 10여권의 저서와 100여편의 국영문 논문이 있다. 한국외대 정외과를 졸업하고 1992년 미국 신시내티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