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상품광고와 소비 실태
없습니다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 박사이다. 논저 『북한의 민속』 (공저, 2020), 『북한 여성의 일상생활과 젠더정치』 (공저, 2019), “김정은 시대 국가주의와 문화적 퍼포먼스” (2020), “1950년대 북한의 사회주의미술건설 시기 정현웅의 매체횡단”( 2019), “한(조선)반도 문학예술 개념의 문화정치학” (2019), “김소월 개념의 전유와 분단” (2018)이다.
목차
- 요약
ChapterⅠ
서론 ㅣ 최지영
1. 연구의 배경과 질문
2. 연구의 구성
Chapter Ⅱ
북한의 상품광고: 정의, 담론, 정책 ㅣ 최지영
1. 광고(Advertising)의 정의
2. 현실 사회주의 국가들의 상품광고
3. 북한의 상품광고 변화
4. 소결
Chapter Ⅲ
북한의 상품광고 콘텐츠 분석: 소비재를 중심으로
ㅣ 최지영ㆍ이지순
1. 분석의 범위
2. 식료품과 의류 광고
3. 화장품과 의약품ㆍ건강보조식품광고
4. 소결
Chapter Ⅳ
북한 상품광고와 소비 실태: 북한이탈주민 대상
설문조사ㆍ심층면접을 중심으로 ㅣ 최지영
1. 조사 대상자 구성
2. 설문조사 결과
3. 소결
Chapter Ⅴ
결론 ㅣ 최지영
Appendix
부록
최근 발간자료 안내
기본정보
ISBN | 9791165891909 |
---|---|
발행(출시)일자 | 2024년 12월 31일 |
쪽수 | 223쪽 |
크기 |
150 * 226
* 13
mm
/ 474 g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